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대한민국의 보건, 사회복지, 인구, 건강보험 등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사회부로 시작하여 보건부, 보건사회부를 거쳐 1994년 보건복지부로 개편되었다.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청, 여성부 등으로 일부 기능이 이관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의료, 건강보험, 사회복지 정책,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정책 등을 포함하며, 사회복지, 사회보험, 보건의료 분야의 다양한 정책을 수행한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질병관리청이 확대되었고, 복수차관제가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중위생 단체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의 연방 공중보건 기관으로 감염병 및 만성 질환 예방과 관리를 수행하며,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 협력에 참여하고 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논란과 신뢰도 하락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 공중위생 단체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질병 조사·연구, 국민 건강 증진 정책 개발 및 지원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산하에 설치된 책임운영기관으로, 중앙보건소에서 시작하여 질병관리본부를 거쳐 2020년 청으로 승격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기관명 | 보건복지부 |
한자 표기 | 保健福祉部 |
로마자 표기 | Bogeon Bokji-bu |
영어 표기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약칭 | 복지부, MOHW |
설립일 | 2010년 3월 19일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26①13 |
전신 | 보건복지가족부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정부세종청사 10동 |
직원 | 900명 |
예산 | 세입: 85조 1036억 9400만 원 세출: 109조 1829억 5800만 원 |
모토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
공식 웹사이트 | 보건복지부 |
![]() | |
![]() | |
조직 | |
상급 기관 | 국무총리 |
산하 기관 | 질병관리청 |
주요 인사 | |
장관 | 조규홍 |
제1차관 | 이기일 |
제2차관 | 박민수 |
역사 | |
이전 부처 | 사회부 (1948–1955) 보건부 (1949–1955) 보건사회부 (1955–1994) 보건복지부 (1994–2008) 보건복지가족부 (2008–2010) |
2. 연혁
- 1948년 7월 17일: 사회부 설치.[18]
- 1949년 4월 15일: 사회부에서 보건 관련 사무를 이관받아 보건부 설치.[19]
- 1955년 2월 7일: 사회부와 보건부를 통합하여 보건사회부 설치.[20]
- 1963년 8월 26일: 소속에 노동청 설치(1981년 4월에 부로 승격).
- 1994년 12월 23일: 보건복지부로 개편.[21]
- 1998년 2월 28일: 일부 소관사무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이관.[22]
- 1999년 5월 24일: 일부 소관사무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이관.[23]
- 2001년 1월 29일: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보호 및 윤락행위 등 방지, 일제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사무를 여성부로 이관.[24]
- 2004년 6월 12일: 영유아 보육 사무를 여성부로 이관.[25]
- 2005년 6월 23일: 「건강가정기본법」 및 「모·부자복지법」 관련 사무를 여성가족부로 이관.[26]
- 2008년 2월 29일: 국가청소년위원회와 통합하여 보건복지가족부 설치. 국정홍보처에서 양극화민생대책 사무, 여성가족부에서 영유아 보육 사무 이관.[27]
- 2010년 3월 19일: 보건복지부로 개편. 청소년·가족 사무는 여성가족부로 이관.[28]
- 2013년 3월 23일: 일부 소관사무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이관.[29]
- 2020년 9월 12일: 코로나19 범유행 교훈을 바탕으로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확대, 보건복지부에 사회복지 담당 차관과 공중보건 담당 차관 2명 두는 법안 제정 및 시행.[5][6]
- 2024년 9월: 보건복지부는 의사 파업으로 인한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일부 병원 응급실에 군 의료진 지원 배치 발표.[7]
- 2024년 10월 17일: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대한민국에서 3,600명 이상이 집에서 홀로 사망했으며, 이 중 중년 및 노년 남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발표.[8]
2. 1. 역대 로고
3. 조직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 산하기관[11]
- * 국립병원
- ** 부곡병원
- ** 춘천병원
- ** 공주병원
- ** 마산병원
- ** 목포병원
- ** 나주병원
- ** 소록도병원
- * 국립정신건강센터
- * 국립재활원
- * 국립외국인묘지
- *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 * 질병관리청
- * 오송바이오밸리 지원센터
- 지도·감독 공공기관[12]
- * 재단
- **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 오송의료기술진흥재단
-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 연구기관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 국립암센터
-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 한국장애인개발원
- ** 한국아동권리보장원
-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 국립근거중심의료지원단
- ** 한국한의학연구원
- ** 한국생명윤리정책연구원
- * 서비스 제공자
- ** 국민연금공단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 뷰티플러스 (보건복지부 산하 잡지 및 미용 관련 기관)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 사회보장정보원
- ** 대한적십자사
- ** 국립중앙의료원
-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 ** 한국의료기관평가인증원
- ** 한국조직은행
3. 1. 소관 사무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생활보호, 자활 지원, 사회보장, 아동(영·유아 보육 포함), 노인, 장애인, 보건위생, 의정(醫政) 및 약정(藥政)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9] 주요 업무는 의료 및 검역, 의무행정, 약사 행정, 건강보험, 기초생활보장, 복지 지원, 사회보장 및 사회복지 정책,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인구정책 및 아동복지 등이다.[9]보건, 위생, 방역, 의료 행정, 약사 행정, 기초생활보장, 자활 지원 및 사회보장, 인구, 출산, 보육, 아동, 노인 및 장애인 관련 업무도 수행한다.[13]
4. 주요 정책 및 사업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의료 및 검역, 의무·약사 행정, 건강보험, 기초생활보장, 복지 지원, 사회보장·복지 정책,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인구정책 및 아동복지 등을 주요 업무로 한다.[9]
4. 1. 보건의료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보건, 위생, 방역, 의료 행정, 약사 행정, 건강보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9][13]4. 2. 사회복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의료, 검역, 의무·약사 행정, 건강보험뿐만 아니라 기초생활보장, 복지 지원, 사회보장 및 사회복지 정책을 주요 업무로 수행한다.[9] 또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인구정책, 아동복지, 보건, 위생, 방역, 자활 지원, 인구, 출산, 보육, 노인 및 장애인 관련 업무도 담당한다.[9][13]4. 3. 사회보험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의료, 검역, 의무·약사 행정, 건강보험, 기초생활보장, 복지 지원, 사회보장·복지 정책,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인구정책 및 아동복지 등을 주요 업무로 한다.[9] 보건, 위생, 방역, 인구, 출산, 보육, 아동, 노인 및 장애인 관련 업무도 수행한다.[13]5. 논란
2020년 2019冠状病毒病疫情|코로나19 범유행중국어으로 인해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복수차관제가 도입되고 질병관리청이 승격되어 복수차관제 도입 논란은 일단락되었다.[42]
5. 1. 복수차관제 도입
2010년 4월 1일 대한의사협회는 상임이사회에서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분야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차관제 도입을 입법 추진하기로 했다.2010년 4월 9일 대한한의사협회 등 6개 보건의료단체와 23개 사회복지단체는 프레스센터에서 '보건복지부 복수 차관제 도입 촉구를 위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보건복지부는 장관 밑에 1인의 차관이 있고 그 차관이 보건과 복지 양쪽 모두를 총괄하고 있는데, 보건과 복지가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기보다는 사실상 보건이 복지에 발목 잡히고 복지 또한 보건 때문에 한계에 부딪히는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라고 지적했다.[39]
2010년 7월 22일 대한의사협회는 보건복지부 내에 2인의 차관, 즉 복수차관제 도입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주승용 의원 대표발의)'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40]
2010년 9월 17일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취임 후 기자간담회 도중 복수차관제 도입과 관련 "보건복지 업무를 감안해 새로운 프로젝트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장관 산하에 사회복지 담당 1차관과 보건의료 담당 2차관을 두는 복수차관제 도입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41]
보건복지부 내부에서도 일단 환영 입장이다. 행정부 내에서 보건복지부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위공무원 인사적체를 해결할 수 있고, 업계의 주장처럼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분야 업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오히려 비효율성이 부각돼 다른 부처에 업무를 뺏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 업무 중 일부는 여성가족부와도 맥을 같이 하고 보건산업 분야는 지식경제부와 맞물리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복수차관제가 도입되고 질병관리청이 승격되면서 해결되었다.[42]
참조
[1]
웹사이트
Location
http://english.mw.go[...]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01-01
[2]
웹사이트
Location
https://archive.tod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01-01
[3]
웹사이트
Histor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english.mw.go[...]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05-04
[4]
웹사이트
Histor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english.mw.go[...]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05-04
[5]
웹사이트
(LEAD) Moon expects greater role for national disease control body with enhanced stature
https://en.yna.co.kr[...]
2020-09-08
[6]
웹사이트
질병관리청 12일 출범…복지부는 복수차관제 도입
http://news.khan.co.[...]
2020-09-08
[7]
웹사이트
South Korea denies hospital emergency rooms collapsing, army doctors deployed
https://www.reuters.[...]
2024-09-02
[8]
웹사이트
More than 3,600 people died home alone in S. Korea last year: report
https://en.yna.co.kr[...]
2024-10-17
[9]
웹사이트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
https://terms.naver.[...]
[10]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http://www.mohw.go.k[...]
[11]
웹사이트
소속기관
http://www.mohw.go.k[...]
[12]
웹사이트
산하공공기관
http://www.mohw.go.k[...]
[13]
문서
「保健福祉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第3条
[14]
문서
在任中死去
[15]
문서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4 및 별표 6 및 별표 7
[16]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19
[17]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19
[18]
법률
법률 제1호
[19]
법률
법률 제22호
[20]
법률
법률 제354호
[21]
법률
법률 제4831호
[22]
법률
법률 제5529호
[23]
법률
법률 5982호
[24]
법률
법률 제6400호
[25]
법률
법률 제7186호
[26]
법률
법률 제7413호
[27]
법률
법률 제8852호
[28]
법률
법률 제9932호
[29]
법률
법률 제11690호
[30]
문서
개방형 직위
[31]
문서
2024년 1월 14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2]
문서
2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나머지 1명은 3급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33]
문서
2024년 6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4]
문서
2024년 2월 29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5]
문서
2024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6]
문서
한시정원 1명 포함
[37]
문서
한시정원 20명 포함
[38]
문서
한시정원 11명 포함
[39]
뉴스
보건복지 관련 단체들 '복수 차관제' 도입 주장
http://www.mjmedi.co[...]
2010-04-10
[40]
뉴스
복수차관제 도입 발의 환영
http://www.doctorsti[...]
2010-07-23
[41]
뉴스
진수희 장관 "복수차관제 도입하겠다"
http://stock.mt.co.k[...]
2010-09-17
[42]
뉴스
질본,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보건복지부 복수차관제 도입
https://news.naver.c[...]
2020-06-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정부, 주민등록시스템 포함 55개 시스템 복구
화장장 온라인 예약 마비…전화 예약 '발동동'
문신사법, 국회 본회의 통과…33년 만에 합법화
지난해 자살률 13년 만에 최고치···하루 40여명 목숨 끊어
복지부 "자살률 상황 엄중 인식…예방 정책 강화에 역량 집중"
서울대병원 노조 전면 파업 돌입…"의료 공공성 강화·임금 체계 개편"
“중증장애 아닌 돌봄통합지원 필요한 장애인으로 신청자격 확대해야”
9월9일 인사
[단독] 올해 ‘의과 공보의’ 충원율 23.6% 그쳐…지역 공공의료 최전선 공백
내년 복지부 예산 137조원···4인가구 생계급여 12만7천원 오른다
지난해 아동·장애인·치매환자 실종 5만건 육박…121명은 아직도 ‘행방불명’
비의료인 문신시술 33년…합법화되나
창신대·마산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선정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 24개 대학 선정…비자 요건 완화
청년 연금가입률 24%에 '화들짝'…18세 청년 첫 국민연금 3개월 지원
2027년부터 18살 되면 국민연금 3개월 보험료 지원받나
불안장애 진료 받는 10대, 4년새 65% 급증…과도한 학습 경쟁·SNS 영향
사직 전공의, 하반기부터 제자리로…복귀 시 정원 초과도 허용
입대 미뤄주고, 돌아오면 자리 보장…복귀 전공의 '특혜' 논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